자율주행차가 도로 위를 자유롭게 누빌 수 있게 되면 자동차 실내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도로 위 풍경도 많이 바뀌게 될 것이다. 전통적으로 생각했던 운전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게 되기 때문에 운전자를 위해 필요했던 핸들, 액셀 페달 등의 수동으로 조작하는 부분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도요타에서는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EV를 콘셉트로 하여 피자배달, 물건 판매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이용될 E-팔레트를 공개하였다.
E-팔레트 개요
국제전자제품박람회 CES 2018에서 화제를 몰고 왔던 도요타의 E-팔레트는 달라질 미래의 도로를 상상시키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 그리고 세상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넥티드 콘셉을 두루 아우르는 E-팔레트는 이동과 수송 목적의 차량 이외에도 공간의 개념으로써 미래 자동차를 정의 내리고 있다. 8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위에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실내를 갖추고 있어 승용 공간, 판매 공간, 휴식 공산, 창고 등 다양하게 변신이 가능한 것이다. 자율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의 부담이 없는 만큼 사용자는 차가 이동하는 동안에 조금 더 가치 있는 시간을 쓸 수 있으며 운전자가 없이도 짐이 스스로 원하는 곳까지 수송되어 운송과 이동의 수단이었던 기존의 자동차를 매우 업그레이드시켰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자율주행차에서 도요타의 브랜드 파워를 살려 아마존, 피자헛, 우버, 디디츄싱과 같은 업체와 협업을 하여 진행하는 콘셉트이다.
도요타의 협업
CES 2018의 기자회견에서 도요타 사장인 도요타 아키오는 차나 트럭의 지금까지의 개념을 뛰어넘어 사람들에게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의 가치를 넓히겠다라고 포부를 드러냈다. 공개된 E-팔레트의 시험제작차는 길이 4.8m이며 지역에 한정하여 완전하게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 4' 기술이 탑재되어있다고 상정하고 있다. 원래는 도쿄올림픽 2020에서 대회의 관계자들의 이동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었다. 당일 공개된 영상에서는 E-팔레트가 24시간 동안 구동되며 이동형 점포, 상품의 운송, 출퇴근 공유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습이 실려있었다. 이렇게 다양하게 용도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도요타는 우버, 마쓰다, 피자헛, 아마존, 디디츄싱의 5개 기업과 제휴를 마치고 전장이 각각 다른 3종류의 차량 공유용, 점포용, 호텔용 설비를 탑재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 도요타는 EV 뿐만 아니라 사업화를 노리고 있다. 마쓰다의 기술을 활용하여 중거리용으로 '레인지 익스텐더'라고 불리는 발전 전용 엔진을 장착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공급 또한 검토 중에 있다. 도요타는 2017년 전체 판매량이 그 전년도에 비해 2% 늘어나 1천35만 대를 판매하여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기는 하였으나 추세를 보면 2013년 이후 제자리걸음이다. 특히 미래 자동차 용도의 개념이 '보유'에서 '이용'으로 변하고 있는 가운데 이미 생산의 규모만을 늘려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E-팔레트는 차량 공급만 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보험회사 결제, 사이버 보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와의 접점을 찾고, 종합 리스 서비스를 도입하여 수익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마세라티 기블리 알아보기 (0) | 2020.07.07 |
---|---|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자동차 친환경 바이오 소재 (0) | 2020.07.06 |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조향장치(steering) 와 MDPS (0) | 2020.06.26 |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주차 보조 시스템 (0) | 2020.06.26 |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자율 주행 시스템과 이슈 (0) | 2020.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