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배터리는 차의 시동을 걸 때 전원의 역할을 하며 이그니션을 시작할 때의 여러 가지 제어 시스템 등의 전원으로 작용하여 엔진의 작용에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차량에 시동을 걸며 자동차 내 각종 전기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배터리는 보통 3년에서 4년을 주기로 교체해주어야 하는 소모품이지만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수명이 길어지기도 하고 역으로 오히려 짧아지기도 한다.
배터리의 구조
자동차 배터리의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된 용기 내부에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판을 배치함으로써 전해액이라는 액체에 침전시킨 셀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형태이다. 셀은 한 개로 약 2.1 볼트의 전압을 발생시키므로 승용차용 12 볼트 배터리인 경우에 6조의 셀을 직렬구조로 연결하고 그 양 끝쪽에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스 극판에는 납으로 된 합금의 기판 위에 과산화 납, 마이너스 극판에는 전해액에 납이 용해될 수 있도록 스펀지 형태로 가공되어 메우고 있다. 플러스, 마이너스 극판의 단자가 사이에 전기회로를 두고 연결이 되면 납과 과산화 납이 유산과 화학반응을 불러일으켜 유산 납으로 변화하고 전해액 안에 물이 증가하게 된다. 이 현상을 방전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길게 지속될수록 전해액은 액체에 가까워져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에 공급시켜주면 방전으로 인해 형성된 유산 납이 원래 납과 과산화 납으로 돌아가 전해액 속 유산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을 충전이라고 부른다. 이때 전해액 중 액체는 전기 분해되어 양극에는 산소 가스가, 음극에는 수소 가스가 생성된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도중에는 전해액이 점차 감소되기 때문에 보충이 필요하게 된다.
배터리의 교체시기
가정에서 사용되는 리모컨과 장난감, 시계 등에 들어가는 배터리 또한 수명이 다하게 되면 교체해야 하고, 늘 사용하는 휴대폰의 배터리도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수명이 짧아지게 되듯이, 자동차의 배터리도 사용함에 따라 점점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서 성능이 줄어들기 때문에 일정 주기에 따라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 자동차 배터리를 교체하는 시기는 대략 주행거리 6만키로 이상이거나 3~4년을 지났을 때 하게 되는데, 관리를 잘해주었을 경우에는 5년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사용 중 배터리가 방전이 자주 일어난다면 이것 역시 배터리 교환 시기가 되었다는 신호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윗면에 있는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체 시기를 인지할 수도 있는데 표시창이 녹색불이 되면 정상이고, 검은색일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 흰색일 경우에는 교체가 필요하다는 신호이다.
배터리 방전의 원인
자동차의 시동이 꺼졌을 때 실내외에 있는 등이 켜져 있거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 전기 공급이 요구되는 DMB,조명, 오디오 등의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배터리 충전은 불가능하고 소모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전의 원인이 된다. 또한 블랙박스가 상시 작동되는 경우 방전될 가능성이 크며, 온열장치나 공기청정기 등 전기를 소모하는 시스템의 사용 그리고 장시간 운전하지 않고 주차만 해두는 경우에도 자연스럽게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낮은 경우에 특히 겨울에 전기 에너지의 방출과 충전이 느려지기 때문에 자연 방전될 수 있다.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알아보기 (0) | 2020.07.08 |
---|---|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테슬라의 미래 자동차 서비스 (0) | 2020.07.07 |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마세라티 기블리 알아보기 (0) | 2020.07.07 |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자동차 친환경 바이오 소재 (0) | 2020.07.06 |
자동차 정보 이슈 채널 - 도요타 E-Palette (0) | 2020.06.27 |